스페이스파이오니어

국가 우주전략기술을 자립화하고 원천기술을 확보하여 국가 우주기술 역량 향상 및 우주산업 생태계 선순환 기반 마련
(우주전략기술 자립으로 핵심부품 기술(16개) 국산화 및 수요맞춤형 기술개발로 성과의 활용 확대)

  • 사업기간
    ‘21년 3월 ~ ‘30년 12월
  • 총사업비
    2,115억원
  • 사업내용
    산업체 중심으로 발사체, 위성본체, 위성탑재체 중점기술 개발
  • 주관부처
    우주항공청

스페이스파이오니어사업은 2021년부터 2030년까지 10년간 총사업비 2,115억원을 투입하여 산·학·연 컨소시엄을 구성한 산업체 중심으로 발사체분야(3개), 위성본체분야(7개), 위성탑재체분야(6개))의 국가우주중점기술(16개)을 개발하는 프로그램이다. 현재 33개 산업체를 중심으로 51개 기관으로 구성된 산학연 컨소시엄이 16개중 14개 우주중점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본 사업은 「우주전략기술 자립으로 핵심부품 국산화, 수요맞춤형 기술개발로 성과활용확대, 국가우주기술 역량향상, 우주개발 생태계 선순환구조 조성 기반 마련」 목적으로 우주중점기술을 개발하여 우주체계사업에 연계 및 국가우주기술력의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01

SPPO 첫 완성 기술, 정지궤도 위성용 GNSS 수신기

  • 정지궤도 위성에 적용 가능한 GNSS ( GPS / Galileo ) 인증모델 ( QM ) 개발 완료
  • 지구 반대편 GNSS 가시위성의 낮은 수신감도 성능개선
  • 정지궤도 항법장치로 30m내외 성능목표 핵심기술 및 전기적 / 기계적 체계연계 Interface 연동개발
좌우로 움직여 보세요
SPPO 첫 완성 기술, 정지궤도 위성용 GNSS 수신기: Items, Development Goals에 대한 표 입니다.
Items Development Goals
RF Characteristics GPS L1 / L2C, Galileo E1
Accuracy Position : ≤ 30m(3D RMS), Velocity : 10cm/s
Raw Data Accuracy Pseudo-Range : 1m(RMS) / Carrier-Phase : 10mm(RMS)
1PPS Accuracy 2us(RMS) / Sync to GPS Time Data
Data Output Rate 1Hz
TTFF Cold Star ≤ 45min, Warm Start ≤ 20min
Data Interface MIL – STD – 1553B
Radiation(TID) > 100krad
02

발사체 중점기술 개발

소형위성 발사체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저비용, 고효율 발사체 핵심 부품 국산화 개발

  • 공통격벽 추진제 탱크
    • 소형발사체 상단용 경량/저비용 공통격벽 구조 추진제 탱크로 알루미늄-리튬(Al-Li) 고성능 합금 소재에 마찰교반용접 및 극저온 단열 국산화 기술적용
    • 500kg급 위성(태양동기웨도 500km) 소형발사체 체계의 상단 핵심 구성품
    좌우로 움직여 보세요
    SPPO 첫 완성 기술, 정지궤도 위성용 GNSS 수신기: Items, Development Goals에 대한 표 입니다.
    Items Development Goals
    Size 2.0 ± 0.2m(D) x 3.0 ±0.5m(L)
    Weight 260 kg or less
  • 저비용, 경량화 발사체 에비오닉스
    • 소형발사체의 임무제어, 전력, 비상종료, 엔진 및 TVC 제어, 원격 측정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의 저비용, 저중량, 소형화를 위한 모듈 기반 에비오닉스 시스템
    • 소형발사체 에비오닉스 발사 준비에서 임무 완료까지의 전체 시나리오에 대한 성능 검증을 위한 지상성능검증장비 개발
  • 단간 연결 엄빌리칼
    • 소형발사체의 연료/산화제(액체메탄, 케로신, 액체산소), 가스(상온, 고압, 저온) 및 전기 공급을 위한 단간 연결 엄빌리칼 인증모델(QM : Qualification Model) 개발
    • 소형발사체의 지상 운용기간 전기 공급, 추진제/가스 충전 및 해압 과정이 운용조건을 만족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조건 도출
    • 소형발사체 이륙 및 단 분리 과정에서 필요한 엄빌리칼 분리 기술과 비행하중에 의한 구조 건전성 확보 기술
    • 소형발사체의 적용된 단간 연결 엄빌리칼의 효율적인 운용을 위한 엄빌리칼 지상 인터페이스 기술 설계
    좌우로 움직여 보세요
    단간 연결 엄빌리칼: Items, Specification에 대한 표 입니다.
    Items Development Goals
    Type and operating flow of propellant gas Liquefied Methane(LCH4)
    Kerosene
    Liquefied Oxygen(LOX)
    Air, GN2, GHe
    Operating flow rate of LCH4, LOX : 530LPM
    Operating flow rate of Kerosene : 320LPM
03

위성 탑재체 중점기술 개발

다양한 임무용 지구관측, 통신 탑재체 중점기술 확보를 통한 국가 우주중점기술 역량 강화 및 수입의존도 해소

  • 전자광학 탑재체용 구동부
    • 차세대 정지궤도 해양탑재체(GOCI)용 구동부 기술 개발
    • 측 구동부(OAM) BM/QM 제작/환경/성능시험 및 2축 구동부(TAM) EM/QM 제작/ 환경/성능시험을 통해 지향모델을 도출/분석/검증
    좌우로 움직여 보세요
    전자광학 탑재체용 구동부: Items, Specification에 대한 표 입니다.
    Items Specification
    OAM
    (One Axis Mechanism)
    Pointing accuracy < 0.2 deg
    Angular velocity > 24deg/s
    TAM
    (Two Axes Mechanism)
    Pointing accuracy < 0.006 deg
    Angular velocity > 1deg/s
    Pointing stability < 4urad/100s
  • 2차원 다채널 적외선 검출기
    • 정지궤도/저궤도 지구관측위성 탑재를 위한 초격자(T2SL) 기반 다채널(중적외선, 원적외선 대역 감지) 적외성 검출기의 국산화 기술 개발
    • 위성 탑재체 모듈의 핵심 구성품인 고감도/대면적 적외선 검출기의 국내 기술 개발
    좌우로 움직여 보세요
    2차원 다채널 적외선 검출기: Items, Specification에 대한 표 입니다.
    Items Specification
    2-D multi-band
    MWIR detector
    2-D multi-band
    LWIR detector
    Wavelength 3 ~ 5.3𝝁𝚖 10 ~ 12.5𝝁𝚖
    Format/Pixel pitch 2048 x 2048 / 10𝝁𝚖 1024 x 1024𝝁𝚖
    NETD ≤ 25mK(@80K) ≤ 35mK(@65K)
  • Ka밴드 송신기 및 Ka밴드 능동형 어레이 안테나
    • 실용위성의 Ka 밴드 다운링크 시스템의 구성품으로 전기적 빔조향 안테나 기술 및 소프트웨어 정의 라디오 기술이 적용된 고기능/소형/경량의 Ka 밴드 안테나 및 Ka 밴드 전송기 장치
    • Ka 밴드 송신기, Ka 밴드 능동형어레이 안테나 단일 유닛 모듈화를 통한 시스템 최적화
    • 4 Gbps 이상의 고속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 위성 탑재체 PDTS(Payload Data Transmission Subsytem)의 핵심 구성품
    좌우로 움직여 보세요
    Ka밴드 송신기 및 Ka밴드 능동형 어레이 안테나: Items, Specification에 대한 표 입니다.
    Items Specification
    Frequency 25.2 GHz ~ 27 GHz
    Beam steering range Az : -60⁰ to 60⁰, El : -60⁰ to 60⁰
    Transmission speed ≥ 4Gbps(2 Channels)
  • 항법위성용 코드/메세지 생성기
    •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에 탑재하기 위한 선도국 수준의 항법 코드 및 메시지 생성기
    • 항법위성용 코드/메시지 생성기는 지상으로부터 수신 받은 항법데이터와 보정데이터를 기반으로 초정밀 PNT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항법 메시지와 코드를 생성함
    • 본 과제는 KPS 사업에 적용되도록 기획되었으며, 체계 연계성을 고려하여 한국형 항법 위성에 적합하도록 개발
    좌우로 움직여 보세요
    항법위성용 코드/메세지 생성기: Items, Specification에 대한 표 입니다.
    Items Specification
    Chipping Rate Al least 1.023Mchip/s
    Data Rate(Sample Rate) At least 50SPS
04

위성본체 중점기술 개발

고정밀 자세제어 및 정지궤도 위성용 부분품 개발을  통한 위성체 소요 우주중점기술 국산화 및 글로벌 시장 경쟁력 강화

  • 저장성 이원추진제 추력기
    • 연료(MMH)와 산화제(NTO)를 사용하는 이원추진제 추력기 개발
    • 정지궤도위성, 달 착륙선 및 심우주 탐사선 등 다양한 임무에 사용
    좌우로 움직여 보세요
    저장성 이원추진제 추력기: Items, Specification에 대한 표 입니다.
    Items Specification
    Specific Impulse 287s
    Nominal Thrust 10N
  • 200mN급 고추력 전기추진시스템
    • 정지궤도위성(3톤급)을 천이궤도에서 운용 가능한 200mN급 이상의 추력을 발생할 홀추력기와 고전압 출력용 5kW급 전력공급장치
    • 수 kW급 대용량 전기추진시스템 시험 시설 구축 및 성능/수명시험 수행
    • 홀 추력기 플라즈마에 대한 실험적 접근의 제한성 보완을 위한 전산 해석용 수명해석 모델링 개발
    • 본 과제의 성공적 수행시 국내 차세대 정지궤도위성 및 심우주 탐사선에 완전 전기추진 시스템 적용 기반 기술 확보
    좌우로 움직여 보세요
    200mN급 고추력 전기추진시스템: Items, Specification에 대한 표 입니다.
    Items Specification
    Nominal Thrust 200mN
    Specific Impulse ≥ 1,500s
    Total Impulse 1.25MNs
    Efficiency 50%
    Output Power 5kW / Max. 350VDC
    Lift Time ≥ 1236hr
    Fuel Xenon
  • 고속 고기동 위성의 제어모멘트자이로
    • 제어모멘트자이로(Control Moment Gyro, CMG)는 인공위성의 자세를 고속 고기동으로 변환할 수 있는 저궤도(LEO) 위성용 자세제어시스템의 핵심 구성품임
    • 반작용 휠(Reaction Wheel) 장착 방식보다 수십 배 큰 제어 토크 발생이 가능한 위성 고속 고기동 자세 변환 기술의 핵심 기술임
    • 차기 중형급 실용위성에 탑재 가능한 위성 자세제어용 CMG 4기로 구성된 CMA(Control Moment Gyro Assembly) 개발
    좌우로 움직여 보세요
    고속 고기동 위성의 제어모멘트자이로: Items, Specification에 대한 표 입니다.
    Items Specification
    Torque Max. 30N-m
    Angular Momentum Max. 15N-m-s
    Gimbal Rate Max. 2rad/s
    Weight Total 95kg
  • 실용급 위성 다중 광학머리 별추적기
    • 단일 광학머리 별 추적기의 단점인 부정확한 광축 방향의 자세 정확도와 낮은 동적 성능을 개선
    • 다목적 실용위성 및 천리안 위성 등의 국내 개발 위성 시스템이 요구하는 지향 정밀도 성능 만족
    좌우로 움직여 보세요
    실용급 위성 다중 광학머리 별추적기: Items, Specification에 대한 표 입니다.
    Items Specification
    Configuration 3 Optical Head(OH) / Fully Redundant Electronic Unit(EU)
    Accurancy(@ 3OH) Pixel Spatial Error : < 3.3 arcsec(3𝛔, 3axes)
    NEA : <1.0 arcsec / √Hz(3𝛔, 3axes)
    Update Rate Max. 30Hz
    Slew Rate Acquisition from Lost in Space :
    Max. 10⁰ / sec / Tracking : Max. 10⁰ / sec / Full
    Performance : Max. 1⁰/sec
    Mass 1 OH < 1.8kg(including Baffle) / EU < 3.5kg(fully redundant)
    Size 1 OH < 132mm x 160mm x 297mm
    / EU < 210mm x 180mm x 125mm
    Power Consumption <10 W(TBC) for 3 OH and EU @28V
  • 정지궤도 위성용 GNSS 수신기
    •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에 탑재하기 위한 선도국 수준의 항법 코드 및 메시지 생성기
    • 항법위성용 코드/메시지 생성기는 지상으로부터 수신 받은 항법데이터와 보정데이터를 기반으로 초정밀 PNT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항법 메시지와 코드를 생성함
    • 본 과제는 KPS 사업에 적용되도록 기획되었으며, 체계 연계성을 고려하여 한국형 항법 위성에 적합하도록 개발
    좌우로 움직여 보세요
    정지궤도 위성용 GNSS 수신기: Items, Specification에 대한 표 입니다.
    Items Specification
    RF Characteristics GPS L1 / L2C, Galileo E1
    Accuracy Position : ≤ 30m(3D RMS), Velocity : 10cm/s
    Raw Data Accuracy Pseudo-Range : 1m(RMS) / Carrier-Phase : 10mm(RMS)
    1PPS Accuracy 2us(RMS) / Sync to GPS Time Data
    Data Output Rate 1Hz
    TTFF Cold Star ≤ 45min, Warm Start ≤ 20min
    Data Interface MIL – STD – 1553B
    Radiation(TID) > 100krad
  • 실용위성급 광학형 자이로
    • 위성본체 내에 위치하며, 광섬유로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
    • 위성본체의 안정화와 정확한 자세 지정에 활용
    좌우로 움직여 보세요
    실용위성급 광학형 자이로: Items, Specification에 대한 표 입니다.
    Items Specification
    Range < ± 20⁰ / sec(Full Performance), < ± 140⁰ /sec(Survival)
    BIAS Stability(1-hr) < 0.01⁰/ hr(3𝛔)
    ANGLE Random Walk < 0.001⁰/ √hr(1𝛔)
    Scale Factor Stability
    (12-hr)
    < 200 ppm(3𝛔)
    Life > 15 year(GEO)
  • 위성 탑재컴퓨터를 위한 ASIC기반 멀티코어 컨트롤러
    • 위성 탑재컴퓨터 적용을 위한 멀티코어 컨트롤러 인증모델(QM) 개발
    • MIL-PFR-38535 또는 ESCC 9000에 기반한 신뢰성 평가 체계 구축
    • 고신뢰성 세라믹 패키지 및 조립/제조 공정 개발
    좌우로 움직여 보세요
    위성 탑재컴퓨터를 위한 ASIC기반 멀티코어 컨트롤러: Items, Specification에 대한 표 입니다.
    Items Specification
    CPU Core RISC-V 32bit Dual core processor
    Performance 200 MIPS / EDAC / Hardware Memory Scrubber
    Memory Controller SRAM, PROM, SDRAM
    Peripherals CAN, UART, 12C / SPI, PCI, GPIO, Ethernet
    Radiation TID : 300 krad(TBD), SEL : 118 MeVcm2/mg(TBD)
연관 컨텐츠
연관 콘텐츠 이미지 2,500배 커지는 태양돛을 전개해 무동력으로 우주를 항행한다! 태양돛 전개장치 전개 시험 성공! 연관 콘텐츠 이미지 전선 없이 전력을 전송! 무선전력전송 실증 성공 연관 콘텐츠 이미지 중력을 이기고 무중력을 구현한다! 무중력의 비밀을 풀 열쇠 무중력환경시험설비 연관 콘텐츠 이미지 대한민국 헬기의 비상을 위해 비행 시 겪는 모든 극한조건을 테스트하는 훨타워! 연관 콘텐츠 이미지 365일 24시간 멈추지 않는 대한민국의 우주를 향해! 초소형군집위성 지상 안테나 구축 연관 콘텐츠 이미지 누리호 성능검증위성 임무 성공! 원자력 전지, S대역 안테나 검증 등 임무 수행 내용을 공개합니다 연관 콘텐츠 이미지 순수 우리기술로 심우주탐사 '대형 전기추력기' 시험장비 국산화 성공! 연관 콘텐츠 이미지 우주 태양광 발전 핵심기술 '무선전력전송' 개발, 세계 최장 거리 전력 회수 성공! 연관 콘텐츠 이미지 NASA 등 전세계 우주기관 우주탐사 수장들이 대한민국에 모인 이유는? 연관 콘텐츠 이미지 우리 기술로 달에 사람이 간 흔적을 찾다! 다누리가 보내온 인류 최초 유인 달 탐사의 흔적들 연관 콘텐츠 이미지 다누리가 지구와 교신하는 방법 국내 최대규모! 여주 심우주 안테나 연관 콘텐츠 이미지 대한민국이 우주로 가는 길을 만들어온 30년! 당신이 몰랐던 대한민국 우주발사체 개발사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