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첨단항공모빌리티(AAM)용 저소음/저진동 프롭로터 시스템 핵심기술 개발
첨단항공모빌리티(AAM, Advanced Air Mobility)에 운용 가능한 저소음 프롭로터 핵심 기술에 대한 연구도 수행하였다.
특히 64dBA급 저소음 프롭로터 기술 개발 과제를 통해 도심 운용에 필수적인 저소음 프롭 로터 형상기술 개발과 초경량 소재를 적용한 국내 부품 국산화를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4~5인승급 도심 모빌리티 비행체의 전기추진시스템에 적합한 저소음, 경량∙고효율 프롭로터(틸트 프롭 및 틸트장치, 리프트 프롭)를 항공기 인증 기술 기준 FAR PART 35에 준하는 프롭로터 개발을 목표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AAM 비행체는 여러 개의 프로펠러를 장착하여 전진비행시에는 일부 프로펠러만 틸트시키고 나머지는 순항시 정지하는 형태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형상에서 수직이착륙시에만 활용되는 양력발생용 프로펠러를 리프트 프롭이라고 하는데, 리프트 프롭은 제자리 비행에서 전진비행으로 천이되는 구간에서 극심한 진동을 발생시킨다. 프로펠러의 형상 및 구조설계를 통해 진동을 저감시키면서 고성능의 리프트 프롭을 설계하고, 실제 천이구간에서 발생하는 진동문제를 고정밀해석기법을 통해 면밀히 분석하여 리프트 프롭 진동저감을 위한 설계 및 해석 핵심기술을 개발한다. 그리고 개발완료시 AAM 적용가능하도록 FAR PART 35의 인증기술기준에 준하도록 개발을 진행하고 특히 조류충돌, 낙뢰, 피로 인증요구도를 만족할 수 있는 프롭 개발을 통해 설계, 해석, 시험평가 핵심기술을 확보한다.
민군 겸용분야의 경우 수송용 멀티콥터(일명 수송 드론)에 적용이 가능한 프롭로터의 핵심 기술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장시간 비행을 위한 엔진과 베터리로 구성된 하이브리드 추진 시스템이 적용된 수송용 멀티콥터는 재난지역이나 차량 접근이 제한적인 격오지 또는 고립부대를 대상으로 비상물품을 보급할 수 있으며, 우수한 공기역학적인 성능과 구조 최적화를 통해 1시간 이상 장기체공 및 최대 40kg의 탑재중량 수송을 목표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