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개발투자성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30년 연구개발 투자를 통해 항공우주 핵심기술 개발과 국가 경쟁력 향상에 기여해 왔습니다.
앞으로도 세계 수준의 항공우주 과학기술 개발로 국민경제의 발전과 국민생활의 질 향상에 기여해 나가겠습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33년의 가치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우주 탐사, 위성, 발사체, 항공기 개발 연대표 이미지. 
[우주탐사]: 다누리(2022).
[위성]: 아리랑 위성 1호(1999), 과학기술 위성 1호(2003), 아리랑 위성 2호(2006), 과학기술 위성 2호(2009/2010), 천리안 위성 1호(2010), 아리랑 위성 3호(2012), 과학기술 위성 3호(2013), 아리랑 위성 5호(2013), 아리랑 위성 3A호(2015), 천리안 위성 2A호(2018), 천리안 위성 2B호(2020), 차세대 중형위성 1호(2021), 아리랑 위성 6호(개발 중), 아리랑 위성 7호(개발 중), 아리랑 위성 7A호(개발 중), 천리안 위성 3호(개발 중), KPS 위성 1호기(개발 중).
[발사체]: 과학로켓 KSR-I(1993), KSR-II(1997~1998), KSR-III(2002), 나로호 KSLV-I 3차(2013), 누리호 시험발사체(2018), 누리호 KSLV-II 1차(2021), 2차(2022), 3차(2023), 4~6차(2025~2027), 차세대 발사체(개발 중).
[항공]: 창공 91(1991), 까치호(1992), 반디호(2002), 중형 에어로스펙(2009), 스마트 무인기(2010), 한국형 기동헬기 수리온(2012), 4인승 인증기 KC-100(2012), 고고도 전력통제무인기 EAV-3(2012), 쿼드틸트로터 무인기(2018), 전기동력 수직이착륙 개인항공기(2019~진행중).

국가 항공우주사업 추진의 중심 역할,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기술축적

    System & Technology

  • 인프라 및 설비 운영

    Intrastructure & R&D facilities

  • 전문 인력 확보

    Human Resources

  • 산업육성 및 기술파급

    Technology Spillover

  • 네트워크 및 우주항공 저변 확대

    Global Network & Outreach

01

기술축적

  • 국가 우주항공 기술수준을 세계적 수준으로 견인
  • 정밀한 위치정보 실시간 제공 항공위성서비스 KASS 구축
  • 국내 최초 달 궤도선 다누리 개발
  • 국산 소자·부품 신기술 및 탑재체 기술검증 체계 구축
  • 세계적 수준의 다양한 지구관측 위성 확보
  • 우주발사체 자력 기술 확보
  • 다분야 위성영상 서비스 제공
  • 누리호 반복 발사 및 차세대발사체 개발
  • 국제 사회 재난재해 대응을 위한 위성영상 제공
  • 국가 항공산업의 근간 마련
  • 국가 위성 운영
  • 미래 도심간 이동 항공기와 차세대무인기 개발
  • 초정밀 위성항법시스템 KPS 구축
  • 미래기술 선도를 위한 우주항공 기술혁신의 브레인
02

인프라·설비

  • 위성 및 우주탐사선 총조립 시험시설
  • 인공위성 발사 종합시설
  • 국가위성운영 센터
  • 항공시험평가 설비
  • 국가위성정보 활용지원센터
  • 국가종합비행 성능시험장
03

전문 인력 확보

연구개발 인적자원의 누적성과를 보여주는 인포그래픽. 왼쪽에는 ‘인적가치 11,166년’이라는 큰 글씨와 함께 ‘연구진 전체 입사 후 연구개발 수행경력기간’이라는 설명이 있고, 아래에는 흰색 실험복을 입고 태블릿을 들고 있는 연구원 일러스트가 있다. 오른쪽에는 1990년부터 2022년까지의 연구원 수 변화를 나타내는 막대그래프가 있으며, 전체적으로 인원이 점차 증가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연도별 인원은 다음과 같다:

1990년: 약 100명

1995년: 약 250명

2000년: 약 300명

2005년: 약 650명

2010년: 약 700명

2015년: 약 850명

2020년: 약 1,000명

2022년: 총 1,114명
오른쪽 위에는 ‘2022년 총 1,114명’이라는 정보가 강조되어 있으며, 그래프의 단위는 ‘명’이다.
04

산업육성 및 기술파급

  • 차세대중형위성 개발을 통한 산업체로의 위성개발 기술이전
  • 민간주도 발사 서비스 기반 구축
  • 중소·중견 기업 파트너십 운영
  • 한국의 뉴스페이스 활성화를 위한 소형발사체 산업체 지원
  • 우주항공 기술 파급을 통한 국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
05

네트워크 및 우주항공 저변 확대

  • 해외 기관 협력협정 체결(총 32개국 86건)
  • 국가 대표기관으로 국제우주항공 분야 커뮤니티 참여
  • 우주항공 전문인력 양성
연관 컨텐츠
전선 없이 전력을 전송! 무선전력전송 실증 성공 중력을 이기고 무중력을 구현한다! 무중력의 비밀을 풀 열쇠 무중력환경시험설비 365일 24시간 멈추지 않는 대한민국의 우주를 향해! 초소형군집위성 지상 안테나 구축 순수 우리기술로 심우주탐사 '대형 전기추력기' 시험장비 국산화 성공! 소형민수헬기 축소로터 풍동시험 신개념 계류비행선(Flying tower) 위성종합관제실_3 위성종합관제실_2 위성종합관제실_1 3.1절 100주년 기념 100대 드론 군집비행 (4) 3.1절 100주년 기념 100대 드론 군집비행 (3) 3.1절 100주년 기념 100대 드론 군집비행 (2)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