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수기술동영상

드론성능 개선기술
  • 관리자
  • 2019-01-16
  • 9,369
TECH번호
  • T_PR_ETC_190113_0002
드론(Drone) 성능 개선 기술
드론 산업은 전문 항공 촬영용에서 키덜트 제품에 이르기까지
취미용, 기업용, 군사용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고 활용 잠재력이 큰 미래 산업입니다.
그라나 기존 드론은 비행 안정성이 떨어지거나, 추락사고
불편한 휴대성, 충전 문제 등 그 한계점도 적지 않았습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는 기존 드론의 구조를 개선하여
주요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였습니다.
이선호 책임연구원(위성개발총괄사업단)
본 기술은 드론의 본체부, 프로펠러부, 지지부 각각의 구조 개선을 통해
휴대성, 비행안정성을 높이고 충격 취약성,
추락 가능성 배터리, 충전 한곗성을 극복한 기술입니다.
휴대성 및 확장성을 가져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한 기술로써
높은 비행안정성을 통해 작업 효율 향상 및 시간 단축 효과가 있으며
특히 추락 사고 방지 기술은 저전력으로 비용절감의 효과가 있고
무인 충전 시스템은 충전 효율 증대 및 비행 시가간 연장의 효과가 있는,
기존 드론의 성능을 대폭적으로 개선한 기술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기존 드론은 병진운동을 할 경우 부가적으로 원치 않는
회전운동(피칭, pitching)이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본 기술은 본체의 수평 유지부를 통해 외력에도 정지자세 유지가 가능하고
프로펠러의 틸팅부를 통해, 본체를 기울이지 않고도 위치 이동이 가능합니다.
드론의 충돌 안정성 및 도킹 정확도뿐만 아니라
영상촬영 작업 정밀도와 소요시간의 개선이 가능한 기술입니다.
본 기술은 드론의 지지대 및 프로펠러를 개폐하여 휴대성을 높이고
다중 연결이 가능하여 한번에 광범위한 데이터 수입이 가능합니다.
충돌시 완충작용으로 본체부와 프로펠러부 형상변형 및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프로펠러의 접이모드와 전개모드에서 모두 비행이 가능합니다.
접이모드 시 부피 최소화, 보관 및 휴대가 편리하고
전개모드 시 각각의 전개 각도를 다르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추락사고 방지 드론
드론의 교통량이 증가하거나 버드 스트라이크가 일어날 경우 추락 가능성도 적지 않습니다.
추락사고 발생 시 전력공급없이 관통홀을 통해 드론에 구비된 낙하산이 자동으로 펼쳐서
추락으로 인한 기기 파손 및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배터리 무게 대비 에너지 용량의 한계로 인해 원거리 비행시 여러 번의 충전이 필요합니다.
본 기술은 스프링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개입하지 않고
착륙 시에만 플러그가 자동으로 돌출 되도록 하여 충전 단자를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아
충격, 마찰, 오염으로부터 보호가 가능합니다.
세계 드론 시장 규모는 연평균 8% 성장해 2022년에는 114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며
국내 드론 시장은 도입 초기 단계이지만 정부 차원에서 드론과 관련된 규제들을 철폐하면서
2022년 5억 2500만 달러 규모로 대폭 성장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미래부는 '무인이동체 미래선도 핵심기술 개발'로
총 400(2016년 150억원)을 투입할 계획을 밝혔습니다.
신개념 형상과 신소재를 활요한 본 기술과
국내외 시장현황을 고려한 맞춤형 기술개발 전략을 세워
국내 중소기업에서 기술을 이전받아 빠른 시일 내
육성 및 상용화하기 유리한 기술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아직 상용화 초기 단계인 미래 드론 국제 시장을 주도하며
우리나라의 미래 산업의 국제 경쟁력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됩니다.
현재 드론 산업은 특히 개인 레저용 드론 분야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산업용으로는 택배, 물류분야를 비롯하여 사막, 오지에서의 인텃넷 연결을 위한 정보통신 분야
재해 예방과 대기 곽측에도 활용되며 교통정보 수집 및 영화 촬영과
스포츠 중계 분야에서도 활발히 적용되고 있고
번죄자 추적 등 치얀용으로도 활용되는 등 그 활용 분야는 무궁무진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드론(Drone) 성능 개선 기술
기술상담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성과확산실 조문희
문의전화 042-860-2272 전자메일 moonyxp@kari.re.kr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