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WP문서210209+조간+(보도)+정부+2021년+우주개발+추진계획+확정.hwp

닫기

보도일시

2021. 2. 9.(화) 조간(온라인 2. 8. 12:00)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배포일시

2021. 2. 8.(월) 09:00

담당부서

거대공공연구정책과

우주기술과

담당과장

신재식(044-202-4620)

황성훈(044-202-4640)

담 당 자

이석원 사무관(044-202-4626)

정관우 서기관(044-202-4641)

박수정 사무관(044-202-4625)

정부 2021년 우주개발 추진계획 확정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발사, 차세대중형위성 1호 발사,

공공복합통신위성(천리안3호) 개발 착수, 우주환경 관측 나노위성(4기) 발사, 핵심부품 국산화 위한 스페이스파이오니어 사업 착수

정부는 16개 관계부처 합동으로 제36회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를 서면으로 개최하고, 「2021년도 우주개발진흥 시행계획등 3개 안건을 심의·확정하였다.

*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 : 우주개발진흥법제6조에 근거한, 국가우주위원회 산하 민·관 합동위원회(위원장: 과기정통부 제1차관)

이날 확정한 분야별 3개의 시행계획*은 우주개발 진흥법에 따른 법정계획으로 2018년 수립된 제3차 우주개발진흥 기본계획(’18.2월) 등의 이행을 위한 ’21년도의 구체적 실행계획이다.

* 2021년도 우주개발진흥시행계획, 위성정보 활용 시행계획, 우주위험대비 시행계획

정부는 올 해 6,150억원 규모의 우주개발 계획확정하였다.

이를 통해 ’21년 10월 발사예정인 한국형발사체 누리호를 성공적으로 발사하고, 한반도 정밀 지상 관측을 위한 차세대중형위성 1호를 3월에, 우주환경 관측을 위한 나노위성(4기)을 하반기에 각각 발사할 계획이다.

또한, 재난·안전 대응 역량 강화 및 공공 위성통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정지궤도 공공복합통신위성(천리안 3호) 개발에 착수하며, 우주부품 국산화산업체 연구개발 지원도 본격 추진한다.

□ 「2021년도 우주개발진흥 시행계획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전략1, 발사체 기술자립) 독자적인 우주수송력 확보를 위해 개발 중인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SLV-Ⅱ)비행모델 제작을 완료하고 ’21년 10월 전남 고흥에 위치한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한다.

* 개발단계 : 체계개발모델(EM, Engineering Model) 인증모델(QM, Qualification Model) 비행모델(FM, Flight Model)

- 누리호발사 성공의 신뢰도 확보를 위해 75톤 엔진 4기를 클러스터링한 1단부 인증모델의 연소시험을 상반기에 실시하고,

- 성공적인 발사를 위한 범부처 발사안전통제협의회 등 지원조직을 운영할 예정이다.

- 또한 누리호발사용 신규 발사대 구축을 완료하며, 발사장의 추적시스템 점검을 위한 모의 훈련도 수행할 예정이다.

(전략2, 인공위성 개발·활용) 차세대중형위성 1호’21 3월에 발사할 예정이며, 정지궤도 공공복합통신위성(천리안 3호) 개발을 신규 착수할 계획이다.

- 차세대중형위성 1호는 공공수요 충족 및 관련 산업 육성을 위해 과기정통부와 국토부가 공동 개발 중이며, 향후 지상 관측 및 변화 탐지, 도시계획, 지도제작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예정이다.

* ’21.3월 카자흐스탄에서 러시아 소유즈 발사체를 이용, 발사 예정

* 차세대 중형위성은 500kg급 표준형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공공 목적의 위성을 개발하는 사업으로 현재 1호, 2호, 4호가 개발 중이며, 3호, 5호는 각각 ’21년과 ’22년부터 개발 예정

- 또한, 수재해 감시, 해경활동 지원, 재난지역 긴급통신 지원 등 재난안전 대응과 GPS 보정신호 제공, 미래 위성통신 기술 테스트베드 역할을 할 정지궤도 공공복합통신위성(천리안 3호) 개발을 착수한다.

* 국내에 축적된 천리안위성 1호·2호의 개발 경험 및 역량을 활용하여 국내독자 개발하며, 과기정통부와 국토부, 환경부, 해양경찰청이 공동으로 개발

- 아울러, 전천후 지상관측을 통한 국가안보 등 다양한 공공서비스 제공을 위해 개발 중인 다목적실용위성 6호, 7호는 ’22년 발사를 목표로 총 조립 및 기능시험 등 마무리 작업에 들어갈 예정이다.

(전략3, 우주탐사) 우리나라 최초의 달 탐사 궤도선은 달 표면 촬영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탑재체를 궤도선과 조립하고 달 궤도선 시스템 총조립시험을 수행하여 ’22년 발사를 준비할 계획이다.

- 또한, 우주환경을 관측하여 우주날씨 이해 및 우주재난 대응의 기초연구 활용을 위해 10kg급 나노위성 4기를 천문연구원 주도로 발사할 계획이다.

* ’21.카자흐스탄에서 러시아 소유즈 발사체를 이용, 발사 예정

(전략4, 한국형위성항법시스템) 자율차·드론 등 4차 산업혁명과 국가 인프라 운영에 필수적인 위치항법시각 정보를 제공하는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 Korea Positioning System) 구축을 추진한다.

* ’21년 상반기 예타 통과 후 예산을 확보하여, ’22년에 착수 예정

- 또한, KPS 관련 국제협력, 선행연구 등을 통해서 KPS 개발 사업의 추진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전략5, 우주혁신 생태계) 도전적·혁신적 우주분야 미래선도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추진(’20~)하는 스페이스챌린지 사업의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 ’20년 10억원을 통한 2개 과제 지원에서 확대, ’21년에는 40억원의 예산을 통해 6개 신규 과제를 추가로 선정·지원할 계획이다.

(전략6, 우주산업 육성) 발사체, 위성 등 체계사업에 활용되는 핵심부품의 국산화를 위해 기업 주관의 R&D를 지원하는 스페이스파이오니어 사업을 신규 추진한다.

- 스페이스파이오니어 사업을 통해 그간 해외에 의존해 왔던 일부 부품을 국산화 개발하여 우주전략기술을 자립화하고 우주개발 생태계의 선순환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한다.

한편, 동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에서는 위성 활용 활성화를 위한 위성정보 활용 시행계획」, 우주물체의 추락·충돌 등 우주위험에 대비하기 위한 우주위험대비 시행계획도 함께 심의하였다.

ㅇ 위성정보활용 분야에서는 올해 3월 발사 예정인 차세대중형위성 1호 영상활용위한 국토위성센터 활용시스템 개선을 포함하여, 천리안위성 2B 대기환경분야 대국민 서비스 제공 등 국민생활과 밀접한 공공분야(기상·환경·해양·국토관리 등)의 영상활용 지원을 확대하고,

- 위성영상의 인공지능(AI) 학습데이터 활용지원과 함께 표준영상 처리코드 최적화를 통한 영상처리시간 단축(약 20→15분)으로 위성영상활용 효율성을 높이고, 초소형위성 활용지원 시스템개발에 착수하는 등 위성활용 기술개발지속 투자할 계획이다.

ㅇ 또한 우주위험대비 분야에서는 우리 위성의 우주공간에서의 충돌 방지와 위성소행성 등 우주물체의 한반도 추락 위험 등의 감시를 위해 남반구에 1.5m급 광시야 광학망원경 설치를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 현재 북반구 5개소에 설치운용하고 있는 광학우주감시장비인 OWL-Net*과 연계할 계획으로, 우리나라의 독자 우주감시 역량을 확장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 Optical Wide Field PatroL Network : 보현산미국모로코이스라엘에 설치운용 중인 국내 유일의 우주물체 감시 장비

정병선 과기정통부 제1차관은 “2021년은 우리 기술로 개발한 한국형발사체 누리호와 차세대중형위성 1호의 발사 등 국민들의 관심과 기대가 큰 우주개발사업을 성공적으로 완수하는 한 해가 될 것이라며,

정부와 개발 담당자들이 막중한 책임 의식을 가지고 성공적으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최선을 다해줄 것을 당부했다.

붙임 : 제36회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 안건별 요약자료 1부.

이 자료에 대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석원 사무관(☎ 044-200-4626)

안건별 담당자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참고

제36회 우주개발진흥실무위 안건별 요약자료

<1호> 2021년도 우주개발 시행계획(안) 이석원(☎ 044-202-4626)

우주발사체 기술 자립, 인공위성 개발 및 활용서비스 고도화, 우주탐사 및 우주감시, 우주국제협력, 우주산업 육성 등 6개 전략에 6,150억원 투자 예정

[전략1] 우주 발사체 기술 자립(1,897억원)

(발사체) 한국형발사체(누리호) 비행모델(FM) 제작 완료 및 발사(‘21.10월)

* 1단 엔진 종합연소시험 완료 및 성공적인 발사를 위한 최종점검 실시

(발사대) 누리호용 신규 발사대 구축 및 발사운용 준비

* 신규 발사대 인증 및 통합모의비행시험 수행, 범부처 발사안전통제협의회 구성

(선행연구) 고성능 다단연소사이클 로켓액체엔진 선행기술 확보

* 9톤급 액체엔진 다단연소사이클 기초설계 및 엔진 다회점화기 기본 설계·제작

[전략2] 인공위성 활용 서비스 및 개발 고도화·다양화(3,226억원)

(정밀지구관측) 다목적 6호·7(’22년 발사 예정) 비행모델 총 조립 및 7A호 시스템예비설계, 초소형 군집위성 1호기 상세설계 수행

(산업육성 및 과학임무) 천리안 3호 개발 착수, 차중형 1호 발사(’21.上) 및 2·3·4호 개발 지속, 차소형 2호 비행모델 총 조립(’22년 발사 예정)

(위성활용) 천리안2A·2B호를 통한 기상, 해양, 환경관측 등 대국민 서비스 제공 및 국가위성의 운영관리·활용을 위한 통합운영시스템*개발

* 국가위성 통합운영시스템 네트워크, 관제수신, 영상처리, 사용자지원 시스템 등 상세 설계 착수

[전략3] 우주탐사 및 우주감시(526억원)

(달 궤도선) 달 궤도선 시스템 총조립시험 수행 및 달 궤도 전이방식(BLT/WSB) 상세설계 진행, 심우주지상안테나 개발 완료

(달 착륙선) 달 착륙단계 영상항법 및 위험지형 감지회피 기술 연구 등 달 착륙선 개발 착수에 필요한 핵심기술 선행 확보

(우주감시) 근지구 우주환경 관측 나노위성* 4기 발사(’21.下)1.5m지구위협소행성 탐지 광학망원경 상세설계 및 관측소 구축사이트 선정

* 고도 500km 태양동기궤도에서 지구 자기장, 전리권 플라즈마 밀도·온도, 고에너지 입자 등 근지구 우주환경을 관측하여 우주날씨 이해, 우주재난 대응을 위한 기초연구로 활용

[전략4] 한국형위성항법시스템(KPS) 구축(10억원)

(사업 착수 준비)KPS 개발 사업예비타당성조사를 지속 대응(~4월)하고, 예타 통과 시 KPS 개발 추진계획 수립 및 사업 착수 준비

(국제협력 강화) UN ICG(위성항법 국제위원회) 가입(’21.9월 예정)위성항법 관련 양다자 협력 추진

(선행연구) KPS 고유 항법신호 기본설계, KPS 지상관측 기반 정밀궤도결정 기본설계 등 KPS 핵심기술 선행연구 추진

[전략5] 우주혁신 생태계 조성(199억원)

(스페이스챌린지) 도전적·혁신적 우주분야 미래선도기술(’30년 이후 대비) 선행 개발하기 위해 다학제가 참여하는 창의적 집단연구 지원

* 신규과제(6개) 선정 및 과제기술관리 강화를 통한 기술성숙도 제고

(국제협력) (한-미) 민간 달착륙선 사업(CLPS) 탑재체 공학검증모델 개발 [한-러] 밀리미트론*(러시아 차세대 우주망원경) 도입 연구협력 착수

* 천문연이 독자 개발한 다주파수 동시관측 수신시스템의 밀리미트론 도입 연구협력 착수(러시아 ROSCOSMOS와 협약 체결, ’21.2월 예정)

[전략6] 우주산업 육성과 우주일자리 창출(292억원)

(스페이스파이오니어) 우주전략기술 자립화 및 원천기술 확보를 위해 우주부품 국산화 연구개발 지원(산··연 컨소시엄 수행) 신규 추진

* ’21년 신규(약 10개 과제 선정, 77억 지원) / ’20~’28(10년간) 2,115억원 지원

(전문인력양성) 뉴스페이스 대비 우수 전문인력 양성 및 대학(원)·산업체 인력대상 맞춤형 교육 추진

* 우주분야 시설·장비를 보유한 전문기관에서 실무중심 교육 및 대학(원)생의 실험·실습 지원을 통한 현장경험·전문성 습득, 우주산업체 대상 온·오프라인 교육 운영 등

<2호> 2021년도 위성정보활용 시행계획(안) 정관우(☎ 044-202-4641)

국가 위성정보서비스 제공, 기술혁신으로 여는 산업 조성, 다중임무 위성 개발, 인프라 선진화를 위한 4개 전략에 3,200억원 투자 예정

[전략1] 스마트한 3대 국가 위성서비스 제공

국가 위기관리 서비스

(재난재해) 신속 대응을 위한 분석시스템 설계 협업채널 강화

- 초소형위성의 재난재해 활용기술 개발을 위한 수요조사 및 후보기술 도출, 재난분석 서브시스템 개념설계

(전략정보) 촬영계획 수립 고도화를 통한 유효영상 획득률 제고

국민 생활밀착 서비스

(기상) 천리안 2A호 안정적 운영, 맞춤형 위성정보 제공, 다중정보 융합 천리안 2A를 활용한 기상 예보지원 강화

(환경) 천리안 2B 활용 미세먼지 산출, 국외 유입 대기오염물질 탐지·유입(출)량 산정활용기술 개발

(해양) 천리안 2B 해양산출물 대국민 서비스 실시, 해양산출물 정확도 검증, 신규 산출물 개발 등 해양 활용 확대

(농림) 차중형 4호(농림위성) 활용 농업위성정보활용센터 국가산림위성정보활용센터 건립 추진농업정보 갱신·생산

공간정보(항공영상 등)위성영상행정자료를 연계한 팜맵 갱신 추진

(국토) 차중형 1‧2호 영상정보 활용을 위한 국토위성 운영시스템 개선을 추진하고 위성영상을 활용한 접근불능지역 공간정보 구축

미래선도 산업 서비스

(항법)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예타 완료(~’21. 上) 및 추진계획(안) 수립(하반기), 한국형위치보정시스템(KASS) 지상인프라 구축 완료

[전략2] 기술혁신으로 여는 차세대 위성정보서비스 산업

(첨단 분석기술) AI기반 분석체계 설계, K-ARD 정의 작성빅데이터 관련 기술, 병렬처리기술접목고속압축해제 기술 개발

(활용 기반기술) 표준영상의 품질과 처리속도를 향상하고 부가처리 영상제품 다양화, 융합기술 연구 등을 통해 산업적 활용성 제고

(산업 생태계 조성) 신규 사용자시스템 서비스, 초소형위성 활용 시스템 설계, 보안처리업무 자동화 시스템 개발 등을 통한 사용자 친화적 활용체계 구축

[전략3] 효율적 위성서비스 제공을 위한 다중임무 위성 개발

(위성개발) 다목적(6‧7‧7A호), 차중형(1‧2‧3·4호), 차소형(2호), 초소형(1호), 천리안위성(3호) 공공서비스 제공을 위한 10기국가위성 개발 추진

- (다목적위성) 정밀감시 위성인 다목적 6·7(위성체 총조립), 7A(예비설계) 지속 개발 및 6호 후속위성인 8호 개발 예타면제 추진

- (중형위성) 차중형 1호(‘20.3 발사예정), 2호(총조립), 4호(예비설계) 지속 개발3호(탑재체 연구기관 공모 등) 개발 착수

- (소형위성) 기술검증/우주과학을 위한 차소형 2호(총조립·시험) 지속 개발

- (초소형위성) 고빈도·정밀 감시용 군집형 초소형위성 시제기(1호기/예비설계) 지속 개발 및 초소형 위성체계개발 기획 추진

(핵심기술) 근지구 우주환경 관측 탑재체, 한국형 통신위성탑재체 등을 위한 핵심기술과 KPS 개발을 위한 기반기술 확보 지속 추진

(미래기술) 랑데부/도킹, 생명유지시스템, 우주 극한건설미래 우주탐사 기술개발하고 3D프린팅을 활용한 우주부품 지속 개발

[전략4] 위성 개발활용 인프라 및 협력체계 선진화

(개발체계) 위성별 임무기술성숙도를 고려하여 산업체 참여를 확대

(위성운영) 국가 전략자산인 위성효율적 운영관리를 위한 국가위성통합운영센터국가위성 통합데이터시스템 구축 추진

(국내외 협력) 해외와의 위성공동운영전략적 국제협력을 추진하고 효율적 국내협력을 위한 기술·데이터 공유체계 강화

<3호> 2021년도 우주위험대비 시행계획(안) 박수정(☎ 044-202-4625)

우주공간으로부터의 잠재적 위험 증가에 대비하여 국민의 안전과 생명, 우주자산 보호 등을 위한 우주위험 대응역량 강화

- 범부처 통합 대응체계 구축, 우주위험 사전 감시예방을 위한 장비분석 기술 개발, 우주위험 대비 기반 확충 등을 위해 11개 세부과제 추진

󰊱 우주위험 범부처 통합 대응체계 강화

(국가우주상황인식(SSA) 체계 구축) 우주감시 정보의 수집분석배포활용 등에 필요한 제도연구개발 등을 위한 부처간 협의 추진

* 군 협업체계, 조직근거법령 마련, 감시 장비 확충, 자료처리분석공유 원칙 등의 SSA 체계 구축을 위한 기본 방향 논의 계속

(민군 합동 국제훈련 참여) 우주군 주관 국제우주상황조치 연합연습(Global Sentinel 21)에 국방부 등 유관 부처기관 합동* 참가(`21.9.)

* 국방부, 공군, 과기부, 외교부, 천문연, 항우연, 국방연 등

(우주위험 워크샵 추진) 우주위험 추락충돌 관측 인프라 기술개발 사업*의 내실 있는 추진을 위한 민군 유관기관 합동 워크샵 개최

* 총예산 / 세부사업 : 193억원(‘20~`24) / 우주잔해물감시레이다시스템 기술개발, ②1.5m 급 광시야광학망원경 구축, 우주위험통합분석시스템 개발

󰊲 우주위험 감시대응기술 확보

(우주위험 식별분석) 국내 감시자산의 관측정보와 해외 수집 우주감시 정보를 통합 수집처리분석하기 위한 시스템 예비상세설계 추진

궤도 결정예측 프로그램의 검증, 충돌확률위험도 분석기술개발을 위한 알고리즘 독자 개발 및 위성충돌 회피를 위한 기술개발 등 추진

(1.5m급 광시야망원경* 구축) 예비상세설계 착수, 북반구에 위치한 OWL-Net과 연계확장 활용을 위한 남반구 설치 부지 확보 추진

* 사양 : (한계 등급) 21.3등급(OWL-Net의 52배), (시야각) 5평방도(OWL-Net의 4배)

(태양위험 감시 강화) ’24년으로 예정된 차기 태양활동 극대기에 대비하여 우주전파재난 경보상황 대응 체계 강화, 예보 프로세스 개선* 추진

* 예보관별 예보 편차 최소화, 모델관측 자료 적용 및 예보 업무 처리절차 확립 등

󰊳 우주위험 대비 기반확충

(우주쓰레기 제거기술 로드맵 마련) 우주환경 보호 및 우리 우주자산의 충돌위험 경감*을 위한 중장기 기술개발 계획 마련

* 현재 국내에는 위성의 추력기를 활용한 폐기기술만을 보유 중으로, 자체폐기능동제거를 위해서는 추가 기술개발이 필요한 상황

(LTS 가이드라인 국내 대응 강화) UN 우주위원회 산하 실무 그룹 참여 및 신규 의제* 모니터링 대응을 강화하고, 국내 이행계획(안) 마련 추진

* (UN의 신규의제(안)) 근접 비행, 지상시설의 안전, 소형위성 추적 등

(국제협력 확대) UN 등 우주위험 관련 다자간 협의체* 참여 활성화 국방분야 미 우주정보공유 협력 강화 등을 통한 역량 강화

* (국제기구 등) UN외기권위원회(COPUOS), 우주잔해물조정위원회(IADC), 국제태양에너지학회(ISES), 국제항공기구(ICAO), 국제전기통신연합(ITU)

라. 부처별 투자계획

(단위: 억원)

부 처

’19년 이전

’20

’2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508

127

125

기 상 청

63

4.6

4.6

국방부(비공개)

-

-

-

합 계

세부 사업 추가 등으로 이전년도 기투자금액 일부 변경